「See Futures」 2015 겨울호
KAIST 「See Futures」 매거진은 미래학과 미래전략을 연구하는 모든 사람들이 정보를 교류하고 최신 연구결과를 공유하는 장이다.
편집장의 글
오랜 내전과 가난으로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기 위해 떠돌고 있습니다. 인종, 종교 또는 정치적, 사상적 차이로 인한 박해를 피해 외국이나 다른 지방으로 탈출하는 사람들, 우리는 그들을 '난민(難民)'이라고 부릅니다. 지금도 정착할 곳을 찾지 못해 보트를 타고 바다 위에서 떠돌고 있으며 국경 철조망에 매달린 채 생사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습니다.
이번호 '커버스토리'에서 '난민'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협동조합 <가장자리> 이사장인 홍세화씨를 모시고 한국에서의 난민 문제를 진단하고, 설동훈 전북대 교수가 제시하는 세계 각국의 난민 정책을 살펴봅니다. 아울러, 평화학 교수인 이재봉 교수를 통해 난민과 평화로운 세계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합니다.
'미래를 위한 실험' 섹션에서는 '무선충전기술'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어지는 '석학의 비전' 섹션에서는 빅데이터 시대의 '콘텐츠 소비 방식의 변화', 게임 기술의 변천사와 현재 개발되고 있는 게임 기술에 대한 '게임 기술의 미래', 우주기반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미래의 에너지 전망과 우주궤도에서의 태양광 활용'을 다룹니다.
'인물 포커스'에서는 벤처 창업을 전문으로 보도하는 뉴스미디어 beSUCCESS의 정현욱 대표를 만나보았습니다. 벤처 창업자들의 소통 창구가 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앞으로의 비전은 무엇인지 들어봅니다.
이 외에도,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미래전략연구센터를 주축으로 열린 여러 행사들에 대한 소식을 전합니다.
날씨가 많이 추워졌습니다.
편집장 정재승 KAIST 미래전략대학원 겸임교수,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번호 | 제목 | 저자 | 쪽수 | 다운로드 | 다운수 |
---|---|---|---|---|---|
1 | 난민에게 머나먼 나라, 대한민국 | 홍세화 | 6 | ![]() |
338 |
2 | 세계 각국의 난민 상황과 정책 | 설동훈 | 6 | ![]() |
1,933 |
3 | 난민과 평화 | 이재봉 | 2 | ![]() |
226 |
4 | 시공간을 넘어, 움직이는 것들을 자유롭게 하자:무선전력 | 임춘택 | 4 | ![]() |
315 |
5 | 콘텐츠 소비 방식의 변화 | 장예빛 | 4 | ![]() |
578 |
6 | 게임 기술의 미래 | 이대현 | 4 | ![]() |
1,069 |
7 | 미래의 에너지 전망과 우주궤도에서의 태양광 활용 | 김승조 | 4 | ![]() |
428 |
8 | 화제의 인포그래픽스 - 미디오 기술이 비즈니스에 끼치는 영향 | 김민혜 | 2 | ![]() |
226 |
9 | 인물포커스-벤처창업 뉴스미디어 beSUCCESS 정현욱 대표 인터뷰 | 조진삼 | 2 | ![]() |
272 |
10 | 르포-작지만 강한 나라, 싱가포르를 가다 | 윤기영 | 2 | ![]() |
357 |
11 | MESIA 미래전략연구과제 최종 발표회 개최 | 서종환 | 2 | ![]() |
251 |
12 | 광복 70주년 '국가미래전략 종합학술대회' 개최 | 김민혜 | 2 | ![]() |
259 |
13 | 미래세대 열린광장 2045 성료 | 배일한 | 2 | ![]() |
253 |
14 | 국내외 미래학 행사 | 미래전략연구센터 | 1 | ![]() |
237 |
15 | 대한민국 국가미래전략 2016 단행본 출간 | 미래전략연구센터 | 1 | ![]() |
243 |
16 |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세종캠퍼스 개원 | 정진만 | 1 | ![]() |
321 |
17 | KAIST 국가미래전략 고위과정(ASP) 4기 소식 및 5기 모집 안내 | 미래전략연구센터 | 1 | ![]() |
222 |